18년도 2학기에 '데이타베이스및실습' 수업을 들었다. 선이수과목인 경영정보시스템및실습(MIS)을 듣고 수강해서 그런지 너무나 재미있게 들었고 (MIS도 정말 재밌었다.) 둘 다 A+ 받았다. 히히... 하지만 그것도 2년 전이라 이제는 ERD 만드는 논리적인 배치?라고 해야 하나, 그런 감각만 남고 개념들은 다 흐려져버려서 다른 팀원들과 함께 생활코딩의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을 듣기로 했다.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강의에서 배워서 스킵하고, 용어의 개념과 그 쓰임새 위주로 살펴보았다. 얼릉 끝내고 SQL문 복습해야지. SQL도 정말 재미있게 했던 기억이 난다.
https://www.opentutorials.org/course/3883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 생활코딩
수업소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수업입니다. 이 수업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데이터 모델링의 효용 업무파악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논��
www.opentutorials.org
※ 2018-2학기 강의에서 정리했던 전범위 요약 문서
데이타베이스및실습 중간,기말 요약정리.pdf
0.78MB
captures
cardinality
optionality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부터의 강의는 내가 수강한 강의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은 범위다.
때문에 여기부터는 2편에서 필기하며 듣도록 하겠다.
'개발 | 데이터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의 ADsP 강의 #1. 용어 정리 및 데이터마이닝 기초 알고리즘(분류, 회귀, 군집)에 대한 이해 (0) | 2020.08.04 |
---|